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의 체인저 1 (조던 김장섭 저)

by 머니룰 2023. 2. 23.
사업 - 리스크는 있지만 시간을 버는 길
투자 - 리스크는 덜하지만 시간을 벌지는 못한다.

1. 주식투자하기 가장 좋은 나라는?

유럽 비추천. 중국과 한국보다 미국이 좋다.
자본주의는 언제나 혁신파괴자들이 세상을 바꿨다.
혁신파괴자- 애플, 마소, 아마존, 페이스북, 구글 등 플랫폼을 가진 기업은 미국 빅테크 기업이다.
우리는 그들의 생각에 동의하기만 하면 된다.
신흥국의 돈은 돌고 돌아 미국으로 향한다.
미국에 투자하라.
트럼프보다 바이든정부에서 빅테크기업이 유리하다.

2. 플랫폼기업이 지향하는 아웃소싱

대부분의 수익은 아웃소싱하는 플랫폼기업이 가져가는 구조.
하청업체는 경쟁에 내몰린 소재기업이라 주가가 올라갈 수가 없다.
테슬라처럼 시장이 가치를 이길 수 없는 신성장 산업에 과감히 투자하는 전략은 초과수익을 거두게 한다.
그러나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여유자금으로 소액만 투자하자.

3. 이야기를 만드는 사람이 세상을 지배한다.

'무엇을' 만들까 - 시장을 조사하라
'어떻게' - 사람의 심리에 대해 공부(두려움, 욕망)
'왜' 사야 하나 - 가치를 만들어 따르게 하라(브랜드화)
취향을 저격하는 자가 플랫폼기업 기업이 된다.
빅데이터 분석 →
행동 패턴을 알 수 있다 →
미래 예측 가능, 감시와 통제 가능
(시장에서 성공하려면 행동경제학 참조)

4. 미래 전기차 1위 기업을 찾는 방법

OS를 통해 더 많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플랫폼기업
OS를 가진 자동차 생산량 1등 기업을 모니터링하자.

5. 중국정부가 증시를 올리는 근본적인 이유

주가를 띄워 외국인 자금이 들어오게 한 다음, 곧바로 유상증자를 통해 외국인의 보유 주식가치를 떨어뜨린다(물타기).
한편, 유상증자로 마련된 자금은 미국이 견제하는 중국 기술기업의 R&D자금과 유휴자금으로 사용된다.

6. 신흥국 주식에 투자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

과도한 유상증자 & 고환율 정책 기조.
유상증자로 물타기하고 수출을 위해 환율을 떨어뜨려 결과적으로 수익률이 낮다.
신흥국과 미국 간 이런 차이가 벌어지는 이유는 미국기업들의 바이백(Buy Back) 때문이다.
바이백이란 주식수를 줄이는 작업으로 유상증자와 정반대 개념.

7. 자산가격 상승을 불러올 디지털화폐 시대의 개막

기축통화국 미국에 대항하기 위해 중국은 가상화폐(디지털 화폐)에 진심

8. 미국과 중국의 금융 전쟁

미국의 부동산 대출방식은 대부분 30년 모기지 금리이다. 원금과 이자를 동시에 갚는 방식이며 이자율은 모기지를 빌리는 시점에 정해져 바뀌지는 않는 고정금리이다. 만약 제로금리, 양적완화의 시기에 1%대 금리로 대출받았다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5억 원 이내의 집들에 한정). 따라서 연준은 이자율 정책을 마음대로 펼 수 있다. 미국의 경기가 좋아져 인플레이션 우려가 있다면 이자율을 올려 물가를 잡는다. 그래도 문제가 없는 이유는 미국인은 대부분 고정금리로 대출을 받았기 때문에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려도 서민 경제에 큰 타격이 없다. 다른 나라보다 한꺼번에 많이 올릴 수 있다. 중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아시아 국가는 변동금리 방식에 기축통화국이 아니다. 미국이 금리를 급격히 올린다면 미국으로 달러가 급격히 쏠리면서 다른 국가들은 달러 부족 현상을 통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이렇게 미국과 중국의 금융 전쟁은 대출방식 차이에 의한 금융공격이 주가 될 것이다.

9. 조던님의 투자 방법

① 부동산보다는 주식.
부동산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쓰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마음 편히 투자하기 위해 세계 1등 주식을 거래한다.
주식시장에서 반드시 살아남는 법칙은 좋은 주식을 오래 들고 가는 것이다.
단, 세계 1등 주식이라도 사고팔고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매뉴얼을 만들었다.
·② 매뉴얼을 지키는 이유
절대로 잃지 말자.
다시는 실수하지 말자.
③ 매뉴얼
나스닥 일간지수 -3% 법칙과 말뚝박기 원칙 활용
나스닥지수가 8 거래일 연속 상승하면 공황 끝.
나스닥에 -3%가 뜬 후 2달 연속 다시는 -3%가 뜨지 않으면 공황 끝이고 다음 날 매수
나스닥 종합지수에 -3%가 뜨면 보유 중이던 종묵을 모두 팔고 한 달+1일을 강제로 기다려야 한다.
-3% 뜨고 한 달 + 1일 지나면 확률상 거의 모든 위험이 끝난다.
전고점 대비 가격이 떨어질 때마다 일정 비율 주식을 사면서 말뚝을 박으면 된다.
말뚝박기 전략의 주의점은 오른다고 불타기(물타기)하면 안 됨.
변동성이 큰 장에서 오른다고 추격매수 하면 위험
④ 세계 1위가 바뀐 다면?
새로운 일등 주식으로 갈아타면 된다.
 
다음 카페 바로가기
네이버 블로그 바로가기
유튜브 바로가기

댓글